대전TP, 우주산업 '규제자유특구' 의견수렴…공청회 개최
- GMENT

- 6월 20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6월 27일
![[대전=뉴시스]곽상훈 기자 = 대전테크노파크(대전TP)는 지난 7일 대전TP 어울림플라자에서 대전시와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규제자유특구에 대한 관계전문가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를 열었다고 8일 밝혔다.공청회에서는 규제자유특구 계획의 완성도 제고를 위한 규제 완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1cc68b_b674c784ec144dd78a1e85a345549f59~mv2.png/v1/fill/w_720,h_382,al_c,q_85,enc_avif,quality_auto/1cc68b_b674c784ec144dd78a1e85a345549f59~mv2.png)
공청회에 참석한 발사체 및 위성 관련 우주산업 기업들은 우수 기술을 보유해도 높은 규제의 벽으로 상업화가 어려운 실정을 지적하며 기술개발 및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특히 규제 완화와 인프라가 동시에 투입되는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대전 우주산업의 기술 혁신과 스타트업 육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라고 입을 모았다.대전TP와 대전시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나온 의견을 적극 검토해 특구 계획안을 보완할 방침이다.
대전시는 지난해 9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올해 규제자유특구 후보특구로 선정됨에 따라 현재 대전이 보유한 인프라와 자원들을 활용해 특구 지정 심의과정 절차를 밟고 있다. 4월 최종 특구로 지정되면 2029년까지 4년간 우주추진용 부품 기준 정립 실증과 고해상도 위성영상 인공지능(AI) 모델 활용 실증 등의 실증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김우연 대전TP 원장은 "우주산업의 성장은 규제 해소를 통해 민간기업의 참여와 혁신을 이끌어야 가능한 일"이라며 "대전이 일류우주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우주기술 연구·활용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공감언론 뉴시스 kshoon0663@newsis.com
![[인터뷰] “독일과 한국, 무중력 지상 실험에서 손잡자”](https://static.wixstatic.com/media/1cc68b_2ae3919cda1f4b9996f42ab94cf8103a~mv2.png/v1/fill/w_980,h_550,al_c,q_9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1cc68b_2ae3919cda1f4b9996f42ab94cf8103a~mv2.png)

